= 미래네트워크선도시험망
초고속 정보통신망의 효율적 구축을 위한 제반 기술의 타당성, 적합성 검증을 지원하고 초고속정보통신망을 통해 제공될 응용 서비스와 관련 이용 기술의 개발 과정 및 결과를 확인하고 검증하기 위해 구축하는 시험망이다. 현재는 전국 10개 대도시 지역(서울, 수원, 대전, 광주, 대구, 부산, 제주, 판교, 전주, 춘천)을 10Gbps~260Gbps로 연결하는 백본망을 구축 운영하고 있다. 또한, 국제연구망(APII, TEIN)등과 연동되어 있다.
링크
https://www.smu.ac.kr/flexer/index.jsp?ftype=pdf&attachNo=481823
http://www.koren.kr/koren/kor/abt/introduce.html?cate=1&menu=1
- KOREN-SDI 통합 운영 포탈을 통하여 원스토븡로 SDN/NFV/Cloud 등 가상화된 지능형 인프라 구성, 운영 가능
- 국내망 백본을 단계적으로 1T 급으로 고도화하고 양자 기술 적용함
- 최대 100G 클라우드, 영상회의 서비스 제공, HPC 환경 무료 제공
- 무선망 연구개발, 시험 환경 제공
인프라
인프라란?
IT 인프라란 어플리케이션을 가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나 OS, 미들웨어, 네트워크 등 시스템의 기반을 말한다. 시스템의 요구사항 - 해당 시스템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,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생각. functional requirement. 이외 시스템의 성능, 안정성, 확장성, 보안 등과 같은 요구사항 - non-functional requirement.
인프라는 non-functional requirement와 관련 있다
인프라의 구성 요소
- 하드웨어(Hardware, HW): 서버 장비 본체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, 전원 장치 등입니다. 넓은 의미에서는 이런 하드웨어를 설치하는 데이터 센터의 설비(건물, 공조, 보안 설비, 소화 설비 등)도 포함됩니다.
- 네트워크(Network) : 사용자가 원격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서버를 연결하는 도구들입니다. 라우터, 스위치, 방화벽 등 네트워크 장비와 이를 연결하는 케이블 배선 등이 있습니다. 사용자가 단말에서 무선으로 연결할 때 필요한 액세스 포인트(Access Point, AP)도 있습니다.
- 운영체제(Operating System, OS) : 하드웨어와 네트워크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기본적인 소프트웨어입니다. 리소스나 프로세스를 관리합니다.
- 클라이언트 OS :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(Windows, macOS 등).
- 서버 OS : 시스템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실행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(Linux, Unix, Windows Server 등).
- 미들웨어(middleware) : 서버 상에서 서버가 특정 역할을 하도록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.
KOREN의 인프라
- (국내 인프라) 전국 10개 대도시 지역접속점을 연결하는 백본망